본문 바로가기
차트연구/지표분석

주식, 비트코인 차트분석지표 - 가격이동평균선

by 매일차트 2023. 1. 12.

시장의 유일한 팩트, 가격에 대한 지표, 가격이동평균선(Price Moving Average)

안녕하세요 매일 차트 입니다.

제가 포스팅한, 차트분석의 가장 핵심, 캔들차트,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 변곡점에 대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차트에 대입해보고 계신가요?

 

당연히 그렇게 하셔야 합니다. 이론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연습이 되어야 실제 매매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하실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제 개인적으로도 아주 좋아하고 차트에 항상 켜져 있는 지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직관적이면서도, 가격에 대한 추세와 지지,저항 모두 표현해주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이며, 클래식한 지표인 가격이동평균선(Price Moving Averag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격이동평균선 이란?

가격이동평균선은 말그대로 종목 가격의 변화를 평균낸 점끼리 연결한 선을 말합니다.

평균 가격 추이를 보여줍니다.

금 가격 차트

세계 금시세 차트를 보시면 가격 캔들의 모습에 맞춰서 움직이는 선도 있고, 완만한 선도 보이실 것입니다.

그것은 각 선마다 평균 낸 기간(캔들 수)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 뜻은, 가격이동평균선은

단기, 중기 장기 매매 모두 잘 활용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가격이동평균선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가격이동평균선은 말그대로 가격의 평균선입니다.

주식시장 초창기에는, 증권사 직원들이 큰 모눈종이에 실시간 가격을 하나하나 점으로 찍어가면서 가격추세를 확인했다고 합니다. 얼마나 노가다 장이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점으로 이루어졌으니 가격의 범위는 알 수 있을 지언정 직관적이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그 가격의 추이를 알아보고자 만들어 진 것이 가격이동평균선입니다.

 

그럼 가격이동평균선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너무간단합니다.

MP = 시장가격

N=캔들 수

이동평균선 = N / MP1+MP2+MP3 ~~~MPn

 

즉, 5일(편의성을 위해 일봉으로 예시를 듭니다.) 이동평균선이라면

일봉 차트에서 5개의 캔들의 종가를 모두 더하고 5를 나누어준 값이 현재의 이동평균선 위치가 됩니다.

 

너무 단순합니다.

그래서 가격이동평균선을 단순이동평균선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단순한 지표이므로 이를 무시하는 시장참여자들도 종종있는데, 제 경험과 여러 트레이더들이 시장의 단기,중기,장기적인 가격 추세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는데는 이동평균선만한 것이 없습니다.

 

가격이동평균선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가격이동평균선은 추세의 전환, 지지선,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가격이동평균선은 추세가 전환되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일봉, 흰색선은 5일이동평균선이다.

위 이미지에 흰색선은 5일 이동평균선입니다. 캔들의 위치에 따라 흰색선도 동일하게 움직여지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단, 5일 이동평균선은 5일간의 이동평균으로 매우 예민하게 지표가 반응합니다. 즉 캔들의 작은 움직임에도 바로바로 선이 변합니다.

 

추세 전환 뿐아니라 5일 이동평균선위에 캔들이 있을 때는 5일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의 역할을 해주기도 하며, 캔들이 5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을 때는 저항의 역할도 합니다.

 

 

실제 매매에서는 어떻게 활용할까?

가격이동평균선은 몇개 캔들로 구성할 지표로 사용할지는 트레이더들 마다 모두 다르고, 자신만의 최적의 숫자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기본 값의 지표를 활용해도 매매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 지표는

5, 10, 15, 20, 30, 60, 120, 240 으로 사용됩니다.

 

가격이동평균선의 활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골든크로스 일때 매수

2. 데드크로스 일때 매도

3. 정배열 이 시작되면 상승추세

4. 역배열이 시작되면 하락추세

 

그럼 각 요소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나스닥 선물 4시간 봉

1. 골든크로스 일때 매수

 - 골든 크로스 라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이 중기, 또는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승 돌파 할때 를 말합니다.

이미지를 보시면 1번 동그라미에 흰색 선(5일선)이 하단에서 위로 다른 중,장기 선들을 돌파하면서 캔들이 지지를 받고 올라왔습니다. 그리고 지속적인 지지를 받다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데드크로스 일때 매도

 - 데드 크로스라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이 중기, 또는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락 돌파 할때를 말합니다.

이미지를 보시면 3번 동그라미를 보시면 흰색선이 주황색선(20일선)을 아래로 뚫고 다른 중, 장기 이동평균선들을 연속적으로 하락 돌파하면서 강력한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상황이 있겠지만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락 돌파 할 경우는 매도 포지션을 잡도록 합니다.

 

3. 정배열, 역배열

 

- 정배열 이란 위에서 아래로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40일 선이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뜻합니다.

이미지로 보시면 2번 동그라미 입니다. 흰색선부터 분홍선까지 아주 깔끔하게 나란히 이동평균선이 퍼져 나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상승장이 강력하게 진행중이라는 뜻입니다.

 

- 역배열이란 정배열의 반대로 위에서 아래로 240일선 120일선 60일선 20일선 10일선 5일선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강력한 하락장을 의미합니다. 이때는 분할매수 하는 것이 아니라 매도포지션으로 즉각 변경해야하며,

이동평균선이 서로 겹치는 때까지 현금 보유하시길 강조드립니다.

 

위는 이동평균선 활용법의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며, 심화 매매기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전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포스팅을 보시고 계신분들 중 초보자가 계시다면 반드시 정말 기계적으로 백테스팅을 아래와 같이 해보시면 신뢰를 느끼실 것입니다.

일단 백테스팅은 과거 차트를 보며 지표의 매매 타점의 신뢰도를 알아보는 방법니다.

정말 단순하게, 기계적으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을 골든 크로스(상향돌파) 했을때 매수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을 데드 크로스(하향돌파) 했을때 매도

 

이렇게 매매 했다면 어느정도 수익률을 보았을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꽤나 괜찮은 승률과 수익률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가격이동평균선 활용 시 주의 사항

가격 이동평균선은 아주 좋은 지표이며, 시장의 유일한 팩트인, 가격을 가지고 만든 지표이므로

상당히 신뢰도가 좋으며 단기 중기 장기 가격추세와 지지, 저항 모두를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무엇이든 100%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모두가 부자가 되었을테니까요

 

가격이동평균의 단점은 후행성과 박스권에서 매매에 취약 하다는 것 입니다.

제가 위 내용에 말씀드렸듯이, 가격이동평균선은 말그대로 과거 n개 캔들의 종가값을 평균내어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러므로 가격이 이미 다나오고 움직인 후에 선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박스권(횡보구간)에서는 이동평균선만으로 매매하기는 매우 힘듭니다. 비효율적이기도 하구요

횡보구간에서는 이동평균선이 단기,중기,장기선 모두가 서로 모여붙어 있는 상황이므로 추세를 알기가 어렵습니다.

 

이를 역이용하면 세력의 매집구간 또는 현재기준 저점이라는 것은 알 수 있지만, 추세의 방향을 알아보거나 매매 자체는 어려워집니다.

 

그렇다고 치더라도, 이동평균선은 대부분의 트레이더가 즐겨사용하는 클래식 가격 지표입니다.

위의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시고, 꼭 연습 및 백테스팅 해보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오늘은 대표적이면서도 기본적인 가격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동평균선만으로도 충분한 가격추세를 알 수 있지만, 주식시장에 100%를 보장하는 지표는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차트분석의 도구와 기법으로 사용하시고, 매매 타점도 연습하시면서 자기것으로 만드시길 당부드리며

귀에 딱지가 앉히도록 말씀드리겠지만, 트레이딩은 기법의 비중보다 대응의 비중이 훨씬 중요합니다.

적게 잃고, 많이 벌어야 하는 단순한 이 원리를 절대 잊으시면 안되며

 

기법 공부 못지 않게, 시간할애해야하는 것이 대응기준 마련 입니다. 

 

다음 포스팅에도 멋진 가격지표를 소개해 드리고 실전 사용예시도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