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비트코인 차트차트분석 시 변곡점 예상의 기준점 - 지지선, 저항선
안녕하세요 매일차트 입니다
가격이 내려가지 않게 방어(지지)해주는 지점과 가격이 올라가지 못하게 방해(저항)해주는 지점을 차트상에 어떤 기준으로 적용하는지, 그리고 실전 차트에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지선, 저항선이란?
지지선 : 가격이 내려가지 않게 방어하는 가격대
저항선 : 가격이 올라가지 않게 방해하는 가격대
너무 간단하죠? 어떻게 보면 추세선과 비슷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추세선은 수직선이라면
지지선, 저항선은 수평선으로 차트에 도식하게 됩니다.
차트의 수평축을 보면서 공통된 변곡점을 수평으로 연결하면 그것이 지지선, 저항선이 되는 것입니다.
아래차트이미지를 보시죠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한 지점은 주요 변곡점이자, 거래량봉이 꽤나 터진 구간 입니다.
매수세든, 매도세든 매매가 많이 일어난 지점입니다.
이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면 다음과 같이 지지선 저항선이 그어집니다.
이 지지선과 저항선을 그은 상태로 차트를 보니 어떠신가요? 향후 매매할 때 어떤 가격대에서 매수를 하고 손절라인을 지정해야하는지, 매도포지션을 어디서 잡아야 하는지 대략 보이실 것입니다.
이 지지선과 저항선을 추세선과 더하여 사용하면 겹치는 구간이 있을 겁니다.
네, 맞습니다. 그 겹치는 가격대가 지지 또는 저항이 가장 강력한 구간이라는 근거데이터로 삼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녹색화살표 지점으로 노란선(지지선) 흰색선(하락추세선)이 겹치는 가격대가 좋은 매수타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락추세선을 상승돌파한 구간임과 동시에, 거래량이 많이 터진 변곡점끼리 연결된 지지선이 있기 때문 입니다.
저 가격에 미리 매수를 걸어놓고 손절을 짧게 걸어놓는다면 손절 없이 위로 곧바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지선, 저항선 그리는 기준
지지선 그리는 기준 : 차트를 수평방향으로 보았을 때, 저점이 형성된 변곡점과 거래량을 기준
저항선 그리는 기준 : 차트를 수평방향으로 보았을 때, 고점이 형성된 변곡점과 거래량을 기준
위 기준으로 보면 지지선은 거래량이 터져서 상승 변곡을 만들어낸 구간끼리 수평으로 그어주면 되고
저항선은 거래량이 터지며 하락 변곡을 만들어낸 구간끼리 수평으로 그어주면 됩니다.
아래 예시를 보시겠습니다.
[지지선]
거래량이 어느정도 터졌으면서 상승 변곡을 만들어낸 공통구간끼리 연결해줍니다.
이때는 항상 저점(꼬리 끝)을 기준으로 그어줍니다.
[저항선]
거래량이 터지면서 강력한 하락이 발생한 고점끼리 수평으로 연결을 합니다.
지지선과 마찬가지로 꼬리를 기준으로 그어줍니다.
지지선, 저항선 활용 방법
지지선과 저항선은 상승장 하락장, 횡보장 관련없이 주요 가격대의 지지와 저항을 알 수 있어서
단타, 스윙등에 적합합니다. 물론 중장기매매도 충분히 활용 가능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봐주세요
녹색 동그라미에서 매수, 빨강 동그라미에서 매도 포지션을 잡으면 아주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4시간봉이므로 저렇게 떨어진 구간은 보통 3~4%정도 됩니다.)
조금 공부를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지선이 아래로 깨지면 저항선이 되고, 저항선이 위로 깨지면 지지선이 됩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죠
왼쪽부터 빨간색 화살표를 보시면 저항을 받은 모습입니다. 계속 저항을 받고 다음 녹색선을 보시면 강력한 장대양봉과 함께 저항선을 상방돌파하였습니다. 이후로 지지선으로 변환되어 지지를 받고 한번 더 위로 힘차게 올려줬습니다. 대략 상승폭은 8~9%정도로 봅니다.
다음 빨간색 화살표는 저항선 지점인데 해당 지점에서 3번연속 저항을 맞고 내려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다음 녹색선을 보시면 3번이나 저항한 지점을 강한 장대양봉으로 뚫고 지지선으로 변환되어 다시 지지해주고 연속 2번의 장대 양봉으로 강력한 거래량을 동반하며 상승하였습니다.
그래서 실제 매매를 할 때는 지지선 저항선을 그려놓고, 돌파여부도 유심히 관찰하여, 매수는 저항선이 뚫리고 해당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역할을 해주는지까지 확인 한 후, 매수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 좋으며, 매도 포지션은 지지선을 하방돌파 한후 반등된 주가를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변경되어 저항하는지 여부를 확인 후 매도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지지선 저항선 역시 단순한 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유능한 트레이더들은 지지선, 저항선을 추세선과 함께 활용하여 매매에 적극 활용 합니다. 해당 지점은 반등 또는 저항구간으로 체크하여 매수,매도 포지션 진입에 근거로 활용되며 눌림목이 어디인지, 손절은 어떤지점에 잡을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도식방법입니다.
저 역시 추세선과 함께 꽤 많은 주요 지지, 저항선이 차트에 그려져 있습니다.
지지, 저항은 향 후에 설명드릴 매물대와도 관련이 깊은데 해당 내용은 다음 글에서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을 소개해드렸는데 트레이딩은 추세, 지지, 저항을 찾는 것이 차트분석의 모든 것이다 라고 할정도로 근본이고 기본입니다. 향후 소개해 드릴 차트 패턴, 엘리어트파동이론, 하모닉패턴, 일목균형표 등등 왠만한 유명 매매기법과 패턴들은 전부 추세, 지지, 저항이 3가지 요소로 만들어진 것들입니다.
하여 이 3가지 선을 꼭 공부, 훈련하셔서 자신의 것으로 만드시고 매매에 활용해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관련글
1.추세선 긋기 포스팅 https://chart-study.tistory.com/entry/trend-line
'차트연구 > 지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비트코인 차트분석지표 - 가격이동평균선 (1) | 2023.01.12 |
---|---|
주식, 비트코인 차트분석 - 매물대 (2) | 2023.01.09 |
주식, 비트코인 차트분석 - 변곡점 (0) | 2023.01.08 |
주식, 비트코인 차트분석의 기본 - 추세선 (1) | 2023.01.04 |
주식, 비트코인 차트분석의 기본 - 캔들차트 (2) | 2023.01.03 |